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62

DPDK (Data Plane Development Kit)에 대한 큰 그림 파악하기 ※  아래 내용은 업무 중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     ※  때로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며, 참고만 부탁드립니다.     ※  잘못된 내용이 있을시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PDK (Data Plane Development Kit)의 큰 그림  위 그림에서 DPDK가 생기게 된 배경에 대한 많은 것들을 설명해주고 있다.  왼쪽 그림은 DPDK 없이 커널 단에서 네트워크를 처리하는 모습이다. DPDK가 없던 시절, 네트워크 컨트롤러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패킷 처리를 위해서는 무조건 리눅스 커널 단의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통해야만 했다. 따라서 고속 패킷 처리 같은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리눅스 커널 단의 네트워크 드라이버 개발이 불가피했다. 직접 리눅스 커널을 개발하는 것 말고는 다른 방법.. 2025. 2. 2.
실패는 나침반이다 | 책 리뷰와 함께 적어 보는 나의 커리어 이정표 실패는 나침반이다수명이 늘어나고, 평생직장이 옛말이 되면서 50대까지 일하고 은퇴하길 기대하기 어려워졌고, 50대 이후에도 남아있는 근 30년 이상의 인생을 어떻게 채울지 막막함이 더해지는 요즘이다. 여기 우리의 미래를 살아본 사람이 있다. 책의 저자 한기용은 삼성전자에서 엔지니어로 커리어를 시작했지만 30대에 훌쩍 미국 실리콘밸리로 떠나는 도전을 감행한 인물이다. 약 30년간 야후, 유데미, Grepp 등 10개 넘는 크고 작은 회사와 조직을 경험하며, 직접 창업까지 하면서저자한기용출판이오스튜디오출판일2024.02.28  '실패는 나침반이다'는 이 시대의 불안한 저연차와 고연차 모두에게 '커리어 모험'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어느 50대 개발자의 회고록이다. 출판사 서평에도 나와있듯이 이 책은 무.. 2025. 1. 19.
2025년 Action Item; 하루치의 힘, 매일의 순환은 큰 목표를 해낸다. ※  아래 글은 2025년을 맞아 정리한 개인적인 신년 목표입니다.     ※  2024년의 회고는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2024년 회고; 올해의 Graceful Closing을 위해   며칠 전에 소박한 회고 글로 2024년을 돌아보고 팀 연말 성과평가서를 작성하면서 한 해를 정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1년 동안 기록했던 업무 일지, 마인드셋 / 실수 / 피드백 다이어리를 다시 읽어보기도 하고, 어떤 세미나를 듣고 누구와 네트워킹을 가졌는지 돌아보기도 했다. 그렇게 2025년 새해를 맞이했다. 2024년 회고는 사실 연말에 주어진 9일간의 휴식 덕분에 시작할 수 있었다. 회고 전에는 일과 관계 측면에서 개인적인 불안과 혼란을 겪고 있었고 번아웃이 오지 않도록 견디고 있는 상태였다. 그런데 회고를 시작하.. 2025. 1. 5.
2024년 회고; 올해의 Graceful Closing을 위해 ※  아래 글은 2024년을 마무리하며 정리하는 개인적인 회고록 입니다.     ※  현재 1차 작성본으로, 팀 연말 성과 평가서를 함께 작성하며 Action Item을 추가해 나갈 것 같습니다.   2024년을 하나의 키워드로 정의해 보자면, 바로 "장르불문" 이다. 올해에는 회사 안팎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 변화 속에서 다양한 장르의 경험을 했고 이 경험들로 인해 어른의 나를 완성해 나가고 있다. 월별 Task와 큼지막한 이벤트월별 Task와 큼지막한 이벤트와 그 속에서 배우고 느낀 것들을 정리해 보자. 1~3월국가과제 준비자사 어플라이언스 보안 제품인 DLP를 클라우드화 하는 국가과제를 준비했다.테스트 항목 12개에 대해 오퍼레이터로서 진행을 해야 했다. NDR 업무2023년 중순에 NDR이라는 .. 2024. 12. 22.
Wireshark Opensource 활용기 | Protocol Dissector를 직접 추가하기 1탄 Wireshark, 강력한 네트워크 분석 오픈소스 Wireshark는 대표적인 패킷 분석 툴이다. Wireshark 오픈 소스를 활용해서, 직접 Protocol Dissector를 추가해보자. 설명할 문서는 Wireshark의 9.2. Adding a basic dissector 부분이다. 9.2 기본적인 dissector를 추가하기문서에서는 Foo 프로토콜을 예시로 들고있다. 패킷 타입 - 8 bit size 가능한 값 1 - 초기화 (initialisation) 2 - 종료 (terminate) 3 - 데이터 (data) 플래그 집합 - 8비트 크기. 값 0x01 - 시작 패킷 (start packet) 0x02 - 종료 패킷 (end packet) 0x04 - 우선 패킷 (priority packe.. 2024. 11. 9.
글또 10기 첫 글, 나에게 6개월 간 일어날 일들 10월부터 글또 10기에 합류했고 글또 활동의 핵심은 "글쓰기"다. 2주마다 1,000자 이상의 글을 적어 공유해야 하고 6개월간 지속된다. 그리고 이 글은 첫 시작을 알리는 나의 다짐 글이다. 글또는 글쓰기만 하는 모임은 아니다. 함께 자라기를 지향하는 사람들이 모여 슬랙을 중심으로 서로의 일상과 글, 인풋/아웃풋을 공유하며 함께 성장한다.   첫 글에는 글또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들을 적어볼까 한다. 글또 활동을 하며 주로 쓰게 될 글, 기대되는 것들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겠다. 주로 쓰게 될 글1. 기술적인 글   왼쪽 사진은 노션에 개인적으로 정리하고 있는 리서치 페이지의 목차 사진이다. 그리고 오른쪽 사진은 리서치 페이지와 업무 페이지가 연결된 데이터 베이스 사진이다. 나는 평소에 일을 하면서 깊.. 2024. 10. 13.
Tocbot API를 이용해서 티스토리 블로그에 목차 적용하는 방법 들어가며티스토리 블로그는 노션, Velog와 달리 TOC(목차)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하지만 Tocbot API를 이용하면 티스토리 블로그에도 TOC(목차)가 자동으로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에서 스킨 편집을 통해 Tocbot을 적용해 보자.          ※  적용 기준은 티스토리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Book Club 템플릿을 기준으로 합니다.    1. 블로그 관리> 꾸미기 탭 > 스킨 편집 > html 편집 이동2. CDN 추가 적용 예시 -바로-위-부분" style="color: #24292e; text-align: start;" data-ke-size="size23">2-2. 부분로 끝나는 바로 위 부분에 다음의 script 코드를 추가한다.  -바로-위-부분" s.. 2024. 10. 5.
글또 10기 도전, 나의 『삶의 지도』 그려보기 ※  아래 글은 글또 10기에 지원하며 정리한 제 개인의 이야기 입니다.  '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 그리고 지질학자어린 시절 나의 꿈은 영화 '잃어버린 세계를 찾아서'의 트레버 앤더슨 같은 지질학자가 되는 것이었다. 고등학생 때에는 지구과학에 대한 애정이 남달라서 학교 정규수업 때 가르치지도 않았던 지구과학을 혼자 공부하고, 모의고사에서 혼자 전교 1등도 하며 지질학에 대한 사랑을 키워 나갔다. 하지만 석유도 나지 않는 대한민국에서 SF영화에 나오는 지질학자가 되겠다고 말하는 것은 부모님과 선생님에게 허무맹랑한 소리에 불과했다. 대학 진학을 앞둔 나는, '지질학자'를 조금 더 현실적인 직업으로 탈바꿈시켜 어른들에게 "나의 꿈은 '기상청 지진연구센터 연구원'"이라 공표했다. 부모님은 당시 공무원이 최고라.. 2024. 9. 22.
가장 학습하기 힘든 직업이 살아남는다 | 함께 자라기 - 애자일로 가는 길, 김창준 저 함께 자라기 작년에 ebook으로 구매한 책이다. 지난 8월 1일 이후로 나의 경력은 3년차가 되었고, 성장에 대한 마음가짐도 신입 때 보다 무거워졌음을 느끼고 있다. 그리고 ebook에 먼지만 쌓여있던 『함께 자라기』 책이 생각 났다.      ※  아래 내용은 책을 읽고 인상깊은 부분을 정리한 글입니다. 1부, 자라기학습 프레임과 실행 프레임학습 프레임 (learning frame) = 자라기"내가 안 그려 보았던 방식들을 실험해 보는 시간이에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실험해 보세요."현재 주어진 과업이 내가 얼마나 배우느냐로 여기게 되는 틀 실행 프레임 (execution frame) = 잘하기"여러분이 얼마나 그림을 잘 그리는지 보고자 하는 겁니다. 여러분의 창의성을 측정 해 보려고 합니다. 점수를.. 2024. 9. 13.